카나리아 키우기 9가지 단계
'길게 써야 뭔가 있어보이는지... 글이 정말 우라지게 깁니다. 하지만 좋은 내용이 많이 담겨있습니다.'
1단계 - 환경 (Environment)
성공으로 가는 9단계 중 제일 처음 단계는 환경이다.
새들이 어디에서(where) 어떻게(how) 살게 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하다.
열기가 들어오는 통로인 창문이나 문 근처에 새를 두지 마라. 외풍도 피해라. 적절하게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은 필요하다.
급격한 온도 변화도 피해라.
시카고에서 1월이 되면 나의 새들이 있는 방의 기온은 평균 0.6℃ ∼ 7.8℃이다.
새들은 본 건물(이 사람의 집을 말하는 듯)의 옆에 있는 부속건물(난방이 되지 않는 목조건물)에 살고 있기 때문에 매우 춥다.
좀 잔인하다 생각될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나는 자연적인 환경에 맞게 내버려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추운 겨울을 이겨내지 못하는 허약한 새들은 번식기를 지낼 힘도 없는 것이다.
매일마다 모든 새들한테 찬 얼음물을 스프레이로 뿌려준다(새들이 어릴 때 즉 새끼일 때는 제외하고). 스프레이로 아침마다 뿌려준다.
새들은 매일 부리로 털을 다듬으면서 순수 자연산 물감을 이용해 깃털에 윤기를 주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깃털의 모습뿐만 아니라 그 새끼가 가진 독특한 특징을 더욱 돋보이게 해준다.
건강한 카나리아의 깃털이 그런 멋진 모습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믿지 못할 것이다.
나는 조명을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 둘 다 사용한다.
인공적인 조명은 Power Twist Vita-Lights와 자동시간조절장치(Automatic Timer)를 쓴다.
타이머는 우선적으로 내가 계획한 스케줄에 따라 맞추는데, 바깥의 자연 조명도 다소 고려해서 맞춘다.
즉, 2월 1일 시카고를 예로 들면, 오전 7시에 해가 떠서 오후 5시에 해가 지므로 자연 채광은 총 10시간이다.
나는 새들의 방에 창문을 벽 높이에 꽉 차게끔 크게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해질녘에 어스레한 빛까지 포함해서
자연 채광의 혜택을 충분히 누릴 수 있다.
한편 타이머는 해가 뜨기 한시간 전으로 맞춰둔다. 왜냐면 내가 나름대로 계획해둔 스케줄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공 조명은 오전 6시에 켜서 오후 4시 30분에 끈다.
결국 나의 새들은 2월 1일을 기준으로 할 때 하루 총 11시간 빛을 쬐는 거다 (오전6시∼오후5시).
낮이 길어질수록 채광시간도 점점 늘어난다.
새들 방의 조명을 어둡게 할 때도 갑자기 불을 끄는 것이 아니라 일몰 때를 이용해 조금씩 자연스럽게 방이 어두어지도록 한다.
4월 초쯤 되면 낮시간이 확연하게 늘어나서 채광시간도 늘어난다.
나의 모든 새들은, 그것이 알을 깨고 나오는 순간부터 한 새장에 한 마리씩 넣어서 기른다.
암컷 수컷을 막론하고 모든 카나리아는 한 새장에 한 마리씩 길러야 한다.
새장 안에서의 공동체 생활 방식을 나는 쓰지도 않거니와 권하고 싶지도 않다.
맨 먼저 카나리아를 개량&전시용으로 키울 것인지 아니면
단지 서로 잘 어울리는(공동체 생활 잘 하는) 새들의 집단을 원하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진열용 품질의 새를 원한다면 새를 마치 열대어처럼 길러서는 안될 것이다.
새장은 공동 어항이 아니다.
새장 안에서 새들이 술래잡기하는 양 한데 모아두는 것은 새들의 영역 안에 깡패들이 득실거리는 것과 같다.
새들은 자라면서 부리로 쪼는 법을 익힌다. 닭들이 뒤뜰에서 부리로 땅을 쪼아대는 것처럼 말이다.
가장 힘이 세고 사나운 놈이 대장이고, 대장은 먹이를 먹을 때도 물을 마실 때도 가장 먼저이다.
즉 새들의 방 안에서 바로 이 새장이 스트레스의 가장 큰 근원지가 되는 것이다.
교배를 시켜서 나온 새끼들이 어미 젖을 떼자마자 다른 어린 새들로 꽉찬 새장 안에 넣는 양육자들을 많이 봤다.
이러한 환경을 나는 '스트레스의 도시'라고 부른다. 새끼들은 음식(food)과 자리(place)를 두고 서로 싸운다.
장난이 심한 점령자(카나리아)는 다른 새의 꼬리나 날개 또는 도가머리를 잡아당긴다.
최상의 짝짓기를 시켜서 나온 우수한 어린 새끼들로 하여금 그런 고난을 겪게 하는가?
새끼들이 가진 유전적인 잠재력을 왜 충분히 발전시키지 못하게 하는가?
당신은, 당신의 자산 관리자로서 어떠한 우발적인 재난에 대해서도 책임이 있다.
새들의 방에서 양육자로서 우리는 누구를 짝지을 것인지, 어떻게 살게 할 것인지에 대해 최종적인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새를 전시회에서 우승하는 새로 만들 것인지 아니면 그냥 평범한 새로 키울 것인지는 우리가 결정하는 것이다.
새들의 방에서 마지막으로 고려해 보아야할 중요한 아이템은 진드기나 기생충과 같은 해충의 박멸이다.
잘 알아보고 가능한 가장 좋은 해충제를 사라. 그리고 그것을 정기적으로 사용해라.
심지어 주위에서 해충을 한번도 본 적이 없다 하더라도 그래도 항상 주의를 해야한다.
최근 미국의 한 연구소에서 발표된 바에 의하면
개나 고양이가 목에 걸고 다니는 flea collar(벼룩퇴치용 목걸이. 애완동물의 목에 걸수 있도록 만들어졌다.)에
암을 유발시키는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이 화학물질은 목걸이를 하고 있는 해당 동물뿐만 아니라 그 동물의 주인이게도 암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애완동물을 옆에 데리고 같이 잠자는 습관을 가진 어른들이나 아이들에게 발병할 확률이 높다.
flea collar에서 발견된 것과 똑같은 화학물질이
몇몇 양육자들이 새들 방에서 사용하는 pest strips(뭔지는 잘 모르겠으나.. 해충 없애는 어떤 것.)이다.
pest strips는 주로 우리의 얼굴 높이와 비슷한 높이에 걸려 있기 때문에 우리는 매일 그것을 지나쳐 다닌다.
pest strips도 flea collar 못지 않게 우리한테 해를 주는 것이 확실하다.
이것이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이고, 정부는 이 제품 또는 이 제품에 포함된 화학물질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검토하고 있다.
2단계 - 음식 (Diet)
성공으로 가는 두번째 단계는 우리가 새들에게 먹여야할 음식이다.
나는 새들에게 어떤 음식을 먹이느냐가 다른 8단계들 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고급 식이 프로그램은 완전히 성장한 새와 발육 부전의 새 사이에 확연한 차이를 가져온다.
내가 새들에게 무엇을 먹였고 음식의 원천은 무엇으로 하였는지는 일일이 열거하지 않겠다.
다만 하나 언급하면 1등급 유아식은 암컷에게 자주 먹이는 계란 갈은 것과 함께 증류수에 적당한 액체 보충물을 첨가한 것인데
이것은 어린 새끼들이 건강하게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나는 또한 젖은 씨앗 혼합물을 먹인다.
이 혼합물은 내가 고른 몇몇의 씨앗들을 섞은 것이다.
이것에다 포도 씨앗, 신선한 푸른 잎, 먼지 없는 깨끗한 씨앗 혼합물을 먹이는 것이 내가 그 동안 사용해온, 카나리아를 그들이 유전적으로 잠재하고 있는 능력을 맘껏 발휘해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이다.
돈이 되는 한 최상의 음식을 가지고 적절한 식이요법을 이용해 먹이는 것은 번식기때 뿐만 아니라 평생동안 이루여져야 할 일이다.
나의 식이요법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안내글은 정기간행물로 미국 각지의 카나리아 클럽에서 출간된다.
사람들이 나의 멋진 카나리아들을 보고는 식이요법 방법에 대한 수많은 전화가 쏟아졌고
그래서 나는 모든 애호가 친구들과 함께 정보를 나누려고 한다.
3단계 - 이상적인 모습 (Knowledge of the Ideal)
성공을 위한 세 번째 단계는 이상형에 대한 지식이다.
일시적인 유행이나 새들이 어떻게 길러지는지에 대한 특별난 아이디어 같은 것이 아니라,
완벽한 새의 모습에 대한 표준적인 이상형을 말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카나리아들이 바다 건너에서 오기 때문에 표준형이 미국에서 인정하는 것과 다를 수 있다.
미국 정부가 외국에서 규정된 카나리아 표준형을 따르지 않는다면,
당신도 미국 정부의 의견에 따라 외국 표준형을 피하는 것이 현명한 일이다.
시대에 뒤떨어진 표준형이나 사적인 이득을 위해 만들어진 표준형 따위에 우리 개개인의 다양한 욕구가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앞으로 카나리아 방발에 책임이 있는 미국 정부의 표준형을 따라야 한다.
내가 12년 전쯤 Gloster와 Yorkshire로 시작했을 때, 나는 정확한 표준 그림을 구했고 그것 위에 투사지를 대고 따라 그렸다.
그렇게 몇 번 따라 그리다 보니 나중에는 투사지를 대지 않고도 그냥 손으로 그릴 수 있게 되었다.
당신이 만약 직선 하나도 똑바로 그릴 수 없다해도 상관없다. 그래도 새 그림은 따라 그릴 수 있다.
이상적인 카나리아가 어떤 모습을 띠면 좋을지 심안(minds-eye)으로 그릴 수 있게 될 때까지 이것을 연습해라.
그 다음 손으로 직접 당신이 그릴 수 있는 최상의 표준형을 그려봐라. 당신이 그린 것을 보고 연구해라.
당신이 손으로 그린 그림을 제대로 된 표준형 그림과 비교해보고 당신의 그림 중에서 어느 부분이 잘못 됐는지를 살펴보아라.
어느 부분이 틀렸든지 간에 바로 그 자리에서 올바르게 수정해라.
이러한 연습은 당신의 눈을 훈련시켜서 앞으로 당신이 기르게 될 동물의 외적인 모습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그 후에는 새 전시회에 몇 번 참석하고 연구해라.
전시회에서 우승한 새들뿐만 아니라 상을 받지 못한 새들의 모양에 대해서도 잘 살펴봐라.
그리고 심판관들에게 어떤 새들에게 상을 주고 또 안 주는지 판별 기준에 대해 설명해달라고 요청해라.
4단계 - 기초자산용 새의 선택 (Selection of Foundation Stock)
성공을 위한 4단계에 대해 말하기 전에 먼저 동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바로 기초자산 선택이다.
(자산이란.. 새를 키우려고 마음 먹은 후 제일 처음 구입하는 새, 즉 앞으로의 양육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새들을 자산이라고 부름)
지금까지 새들 방에 대한 적절한 모습에 대해 이해했고 준비가 되었다.
적절한 음식들도 사 놓았고, 완벽한 표준형에 대한 공부도 했다. 이제는 당신의 새들 방안에 새들을 들여놓는 것이 문제다.
당신은 지금까지 여러 전시회를 구경해봤고 전시회장을 둘러보며 흥미를 느꼈다.
당신은 표준 카나리아, 아니 그보다 더 나아가 최고의 표준 카나리아를 키우고 싶다고 결심했을 것이다.
가능하다면 다시 전시회장으로 돌아가서 우승한 새들에 대해 연구해봐라.
우승한 새가 당신이 기르길 원하는 새와 일치한다면, 우승한 새의 주인이 데려온 다른 새들도 모두 보여달라고 해서 관찰해봐라.
그러면 그 새들에게는 뭔가 공통점이 발견될 것이다.
또한 전시회의 규모가 큰지 작은지에 대해서도 주의해라.
당신이 택한 새 주인은 우승한 것뿐만 아니라 그 밖에 다른 종류의 상도 수상했는가? 그 주인의 새들에서 뭔가 공통점을 발견했는가?
그 주인의 새들에게서 뭔가 일관성이 발견되는가 아니면 모두 제각각인가? 만약 새들 사이에 유사점이 별로 발견되지 않는다면,
그 주인의 새는 사지 말아라.
만약 새들 사이에 어떠한 일관성이 발견되었다면 그 주인은 훌륭한 양육자일 것이다.
한해에 이맘때쯤 되면, 즉 전시회 씨즌이 되면 양육자들의 새들은 모두 팔리고 없다.
내가 이 말을 하는 이유는 나는 매년 가을 전시회에 가서는 항상 구매자들의 주문을 거부한다.
그들은 내가 왜 전시회장에 오는지, 그리고 왜 판매용 새들을 데려오지 않는지에 대해서 이해하지 못한다.
나는 그들에게 매년 똑같은 말을 반복해서 설명해준다.
나는 딱 전시회용 새 몇 마리만 데려오고, 새들이 팔리기 위해서 먼 여행길의 스트레스를 느끼게 하고 싶지 않은 것이라고.
내가 새들을 전시회장에 절대 데려오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이때쯤 되면 나의 새들은 다 팔렸기 때문이다.
사실 내 새들은 번식기가 막 지난 6,7월쯤 되면 다 팔린다. 난 매년 200마리가 넘는 Gloster를 판다.
그러나 우수한 양육자에게 혹시 남은 새들이 없는지 물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마침 남은 새가 있다고 하면 매우 잘된 것이고, 만약 없다고 하면 다음해의 주문을 위해 그 사람 새들의 리스트를 받아두어라.
새 전시회를 구경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새에 관한 잡지를 통해 전시회 보고서를 읽어보는 것이다.
그러나 잡지에 나온 전시회에 대한 보고서는 판정 기준이나
당신이 관심있어 하는 새들이 몇 마리나 출품했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으면 신뢰할 수가 없다.
당신이 알아두어야 할 것은 전시회에 500마리의 새가 출품했다 하더라도
전시회의 섹션은 500마리 각각의 특성에 맞게 자세히 나누어져 있지 않다.
만약 모든 종을 통틀어 전시회에 출품된 새가 총 500마리인데, 그 중에 단지 30마리 만이 Gloster이고
그 Gloster중에서 25마리는 모두 한 사람이 갖고 온 것이고, 나머지 5마리도 다른 어떤 한 사람이 가져온 것일 수도 있지 않겠는가?
당신이 잡지에 나온 기사를 보면서 알수 있는 것은 단지 500마리의 새 중에서 누가 Gloster부분에서 1등, 2등, 3등을 했는가 이다.
Paul Harvey씨가 말하는 것처럼, 그 나머지 새들에 대해서 당신은 알 길이 없다.
(즉,, 잡지에 소개된 1,2,3등 gloster가 훌륭한 gloster 500마리 중에서 우승한 gloster인지 or 그저그런 새들 470마리와 30마리만의 gloster 중에서 우승한 gloster인지 알수가 없다.)
당신의 기초 자산을 불완전한 정보를 기초로 고르고 싶은가?
힘들게 번 돈을 가지고 잘못된 기사나 겉만 화려한 광고에 속아서 질 나쁜 새를 사고 싶은가?
심판관들은 자격이 있는 사람들인가? 많은 수의 새가 출품한 대규모 전시회장에서의 우승인가?
아니면 몇 안 되는 새들이 출품한 소규모 전시회장에서 개중에 그나마 나은 새가 우승을 한 것은 아닌가? 자꾸 의심을 해봐야 알 수 있다.
카나리아에 헌신적인 양육자라면 마땅히 이런 것들을 알아야 한다.
화려한 광고에는 출품자가 정말로 공정한 판정하에서, 고품질의 새를 가지고, 유명한 전시회에서 우승을 한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는가? 한때 잠깐 스쳐가는 전시회에서 우연히 한번 우승해본 것은 아닌가?
출품자가 최근에 명성있는 유명한 전시회에서 우승한 적이 있는지 물어봐라.
만약 출품자나 광고자가 근 8-10년 내에 공정한 판정이 인정된 유명 전시회에서 우승한 적이 한번도 없다면
난 그 사람의 새들의 완전함Iintegrity)에 대해서 의심을 할 것이다.
당신이 관심 있어 하는 새를 보유하고 있는 주인에게 편지를 쓰거나 전화를 해보아라.
당신이 궁금한 것은 뭐든지 다 물어보고, 그 질문들이 당신에게 만족한 것인지 살펴봐라.
만약 그 주인이 당신에게 보여줄 수 있는 문서로 된 증거자료가 있다고 하면 그것을 보내달라고 요구해라.
카나리아 주인의 집에 직접 방문해볼 만큼 돈과 시간의 여유가 있다면, 약속을 잡아라.
대부분의 카나리아 주인들은 판매용 카나리아뿐만 아니라 그들이 집에서 그냥 기르고 새들도 기꺼이 보여줄 것이다.
새들의 주거형태를 관찰해라.
병든 새들을 위한 방까지 포함해서 모든 방 전체를 둘러보고, 당신이 사려는 새 중에서 혹시 병든 것은 없는지도 물어봐라.
방 안에서 일관성을 찾아라. 뻔한 장사꾼 술책에 속지 마라.
이 새는 2년 전에 우승컵을 탔던 카나리아의 삼촌이네 하는 식의 허튼 소리 말이다.
당신이 건네 받은 새가 정상적인 모습의 외형을 갖추지 않았다면 당신은 도박을 하는 거다.
상태가 안 좋아 보이는 새를 사는 것은 (새 주인은 상태가 곧 좋아질 것이라고 말을 한다) 위험수위가 매우 높은 도박이다.
난 그런 종류의 도박을 좋아하지 않는다.
겉보기에 좋은 새를 사서 성장기를 동안 그 특색을 잘 유지시키는 것만 해도 충분히 어려운 일이다.
새 주인에게 질문을 많이 해보고 대답이 모두 만족스럽다면, 겉모습도 모두 좋다면 구매해라.
새 주인에 대한 평판이 얼마나 좋은가도 고려요소가 될 수 있다.
5단계 - 적절한 시험용 짝짓기 (Proper Test Mating)
당신의 기초 자산을 획득해서 새 방안에 정착시킨 후에는 짝짓기에 대해서 생각해봐야 한다.
한 명의 새 주인으로부터 세네 쌍의 카나리아를 구매했다면 성공하기 위한 5단계인 적적한 시험용 짝짓기를 해봐야 한다.
나는 한 유명한 새 주인으로부터 22쌍의 Gloster를 구매했던 것이 기억난다.
시범용 짝짓기를 하고 3년만에 단지 세 쌍만이 내가 원하는 새끼를 부화시켰다.
이 중 단 한 마리의 수컷이 오늘날 도가머리 대회에서 우승하는 나의 대부분의 새들의 기초가 되었다.
우승컵을 탄 양육자로부터 카나리아 여러 쌍을 구매했다고 해서 반드시 당신이 키운 그 새들이 또 우승컵을 타게 되는 것은 아니다.
이 글의 첫머리에서 나는 20년 전부터 Gloster를 키우기 시작했다고 언급했었다.
난 1980년이 되어서야 내가 키운 Gloster로 처음 우승을 하게 되었다.
1981년에 출전한 첫 국가 전시회에서 가장 훌륭한 Gloster를 키운 사람에게 주는 켈로그 상을 내가 받았다.
카나리아는 보통 한번에 4개에서 5개 사이의 알을 품고, 한 둥지에서 기르는 새끼는 평균적으로 4마리이다.
나는 기르기에 적절한 새끼의 수를 제안하고자 한다.
당신의 방에서 가장 훌륭한 수컷 한 마리를 우수한 모든 암컷과 짝지어 주어라.
우수한 암컷들이 낳은 알을 모두 모아서 가장 덜 매력적인 암컷에게 품게 해라.
알을 잘 품는다고 판명난 평범한 암컷들이 있다면 우수한 암컷이 품고 있던 알을 빼서 그 평범한 암컷이 품도록 해주어라.
수양부모인 셈인 그 암컷이 알도 품고 새끼도 기르도록 해주어라.
고품질의 암컷이 둥지에 알을 낳는 일을 끝내자마자, 둥지를 치우고 그 암컷에게 좋은 물을 뿌려주어라.
그 암컷 새가 흠뻑 젖도록 하라는 뜻이다.
먼저 그 암컷새의 둥지를 새장 밖으로 꺼내라. 이틀 후에 수컷 새와 함께 새 둥지를 새장 안에 다시 넣어준다.
그러면 암컷새는 즉시 또 알을 낳을 것이다.
한 마리의 수컷새를 여러마리의 암컷새에게 반복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수컷새는 항상 교배를 하고 있게 된다.
몇번 교배를 하고 나면 수컷새를 자신의 새장에 옮겨놓고 충분하게 영양보충을 시켜주고 알맞게 울게끔 해라.
이 방법을 통해서 한 마리의 암컷새로부터 네다섯개의 새끼 둥지가 나오게 된다.
알을 낳아야 한다는 것 또는 연속적인 교배가 큰 부담이 되는 건 아니다.
연속적인 교배로 인해 죽었다는 새는 아직 보지 못했다.
사실 암컷새는 번식기가 끝날 때까지 계속해서 알을 낳는다.
새들에게 스트레스가 되는 것은 새끼에서 양질의 유아식을 먹여야 한다는 걱정이다.
새끼들의 이러한 특징으로 말미암아 고품질이라 증명된 암컷과 수컷을 새끼들에게 더 잘 할당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당신의 고품질 수컷새가 암컷새보다 낫다면 수컷새가 가장 훌륭한 새끼를 맡도록 하여라.
이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이야기하겠다.
6단계 - 무자비한 퇴출 (Ruthless Culling)
어떤 수컷새가 암컷새로부터 가장 품질 좋은 새끼를 생산해내는지 찾아낸 후에는 6단계 무자비한 선택으로 넘어가야 한다.
표준형에는 부합한다하더라도 당신의 기대에 못 미치는 새끼들은 과감하게 퇴출시켜야 한다.
시험용으로 썼던 부모 새를 포함해서 모든 것을 제거한다.
그냥 애완용 새로 기르거나, 아니면 애완동물 가게에 판다.
불량한 새들을 기르는 것은 시간, 공간, 돈 낭비이다. 얼마나 많은 새를 키웠느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고품질의 새를 얼마나 많이 키웠냐가 중요한 것이다.
나는 3월에 클럽모임에 참석한 그 양육자들을 기억한다.
그들은 벌써 한 횃대에 50마리의 새가 앉아있다느니, 시즌이 막 끝난 지금 200마리의 새끼가 새로 더 늘었다느니하며 떠들어댔다.
그들은 요즘 정원을 가꾸고 봄맞이대청소를 하면서 여름을 즐길 준비를 하고 있다.
전시회장에서 우승컵을 타는 진정한 열정적인 양육자는 일년내내 새들 방안의 모든 사소한 것까지에도 대해서 신경을 쓴다.
이른 양육자들(새들이 빨리 부화시키도록 강요하는 양육자들)은 장기전에서 보면 모두 실패자들이다.
왜냐면 그 새들은 너무 앞서나갔기 때문에 전시회 시즌동안에 그들의 본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
아마도 수컷은 노래를 부르면서, 암컷은 줄에 매달려서 서로를 찾느라고 쭉 뻗어 있을 것이다.
천천히 자란 새는 전시회 시즌동안에는 짝짓기를 할 마음이 들지 않는 반면에 말이다.
새를 키우는 과정은 누가 얼마나 빨리 번식기를 끝냈느냐, 얼마나 숫자가 많냐 등으로 평가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자라나는 새끼들이 전년도에 비해서 얼마나 많은 향상이 있는가이다.
얼마간 향상이 있다면, 새끼들에 대한 그 다음 당신의 목적은 무엇이 될 것인가?
7단계 - 현명한 근친교배 (Wise Inbreeding)
근친교배는 9단계 중 또 하나의 중요한 단계이다.
근친교배는 순종을 지켜준다.
근친교배의 핵심은 최상의 수컷과 최상의 암컷을 골라서 교배시키는 것이다.
단지 당신이 '난 근친교배 시킬 수 있어.'라고 말했기 때문에, 또는 근친교배 시키는 것이 유행이라서 하는 것이라면 하지 마라.
근친교배를 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새들의 외적인 모습과 내적인 특성들을 유전적인 순종 그대로 보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좋든 싫든, 새끼에게 순종의 중복 유전자를 주는 것이다.
믿거나 말거나 근친교배는 그것이 적절하게 수행되었을 때 그 부모보다 더 나은 새끼가 나온다.
세계 각지의 유명 양육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이것을 증명할 수 있다.
근친교배의 가치를 증명해 보일 수 있는 각각의 경우들을 일일이 열거하지는 않겠다.
내가 전시회에서 연속적으로 우승한 것이 우연이 아니라는 것만 말해두겠다.
고품질의 새끼들을 단순히 요행을 부려서 생산해 낸 것이 아니다.
다른 사람들이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최고의 새들을 교배시켜서 유전적으로 순수한 혈통을 발전시켰다.
여기서 부화된 새끼들은 우리가 요구하는 최상의 품질을 모두 타고나서 이들이 낳은 새끼는 전시회에서 우승하는 경우도 월등히 많다.
당신도 역시 할 수 있다. 이것은 대단히 멋진 일이다!
David D. Kowaslski의 책 「훌룡한 동물 양육자들의 비밀(The Secrets of the Great Animal Breeders)」을 보면,
평생동안 다양한 비둘기와 잉꼬의 성공적인 양육자였다는 W. Watmough의 말을 인용한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근친교배를 멸시하고 이종(異種)교배만을 고집한다.
이계교배의 새끼들이 때때로 우승컵을 타기도 한다.
그러나 그 우승 새들은 결코 비슷한 종은 아니다.
즉 양육자가 한번 고품질의 새 혈통(family)을 끌어냈다 하여도 그것들은 비슷한 유형이 아니다.
반면에 근친번식을 시키는 양육자들은 한번 고품질의 근친번식 혈통을 만들어 내면
그 뒤로는 계속 같은 종으로 시즌마다 우승하는 새를 생산해낸다.
얼마나 좋은 근친의 혈통(family)인지는 처음 그 혈통을 만들어낼 때 쓰인 새들의 품질과, 적절한 짝을 맺어주고,
그의 목적에 맞지 않는 새는 과감히 퇴출시킬 줄 아는 능력을 가진 양육자의 자질에 달려 있다."
Kowalski 책에 계속해서 쓰여있기를, Watmough는 그 다음에 혈통(strain) - 혈통이 무엇인지, 혈통이 어떻게 생겨나는지,
그리고 양육자의 헌신적인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계속해나간다.
"가축을 양육하는 사람들이나 작가들에 의해서 혈통이라는 단어는 자주 막연히(부정확하게) 쓰인다.
사람들은 그들만의 고유한 혈통의 새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데 말이다.
그들은 이곳 저곳에서 가축을 산다. 그리고 근친교배는 아주 가끔 그것도 비전문적으로 한다.
한편 이계교배를 자주 하고 그 결과 새끼들은 서로 각기 다른 종류가 나오며 상태가 좋은 것도 있고 나쁜 것도 있다.
그런 사람들은 혈통 있는 새를 가졌다고 말할 자격이 없다.
근친번식을 시키지 않고서는 혈통이란게 생겨날 수가 없다.
혈통을 세우고자 하는 이는 주로 제 집에서 자란 동물에 의존해야 한다.
그러나 혈통을 세울 필요성을 못 느끼는 이는 앞에서 지적했듯이 처음에 새를 구입할 때만 좋은 자산을 사면 된다.
야심찬 애호가들은 집에서 키운 새, 또는 고품질의 새를 소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그리하여 그가 키우는 모든 새가 똑같은 겉모습을 가져서 소유자 고유의 어떤 특징을 나타내보일 수 있게 되길 원한다.
이리하여야만, 오직 이렇게 했을 때만이 진정으로 그가 자신의 이름 고유의 혈통 있는 새를 가졌다고 주장할 자격이 있는 것이다.
물론 나는 모든 사람들이 다 제각기 고유한 혈통을 소유하길 바라는 것은 아니고,
그리하여 매년 수많은 우승자들의 혈톨 이름을 다 외워야 하는 불상사가 일어나지는 않는다는 사실에 감사한다.
8단계 - 선택적인 이계교배 (Selective Outcrossing)
한 혈통을 개발해 내는 데에 있어서 그 새가 갖고 있지 않은 어떤 특징을 덧붙이고 싶은 필요성을 느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부족한 그 부분을 다른 새에게서 찾아내야 한다.
찾는 특징이 그 새의 몸 안에 완전히 자리잡고 있어서 그 새가 그 특징을 가지고 잇다는 데에 결코 의심의 여지가 없는 새를 선택하여야 한다. 원하던 특징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원하지 않은 특징 또한 조금이라도 함께 갖고 있는 수컷이라면 매우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한다.
그 새끼들 중 원치 않는 것들은 냉혹하게 추려서 도태시켜야 한다.
유명한 비둘기 양육자 G.H.T. Stone은 Mr. Kowalski의 말을 인용하기를,
"근친교배가 혈통 내의 새들을 정화시키고 발전시키는 동안 이종교배는 앞서 행해졌던 모든 이계교배의 도가니 속으로 던져진다.
이계교배는 유전적으로 완전히 개편된 결과를 낳기 때문에 새로이 형성된 유전자 조합을 재분류하고 재정화하는 데는
동종교배보다 시간이 더 걸린다.
또한 이계교배는 그 전에 3년, 5년, 15년, 50년 동안 해왔던 모든 작업을 수표로 돌려놓은 가능성도 높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모든 이계교배는 양육을 마감하는 기간이 시작되기 바로 전에 행해져야 한다."
Kowalski는 또한 말하기를,
"이러한 잠재력을 득(得)이나 해(害) 둘 중 하나가 되게 다루는 것은 올바른 이계교배의 핵심이다.
계획한 이계교배가 올바르고 득이 되는 것인지 확신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질문에 모두 만족스러운 대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1. 내 동물들이 정확히 어떻게 결함이 잇는가?
2. 이 결함은 내 동물이 고품질로 계속해서 유지해나가는 데에 치명적 요소인가?
3. 이 결함을 치유해줄 유전인자를 도입시키는 데에 있어서 어떻게 하면 유전적인 혈통의 순수성에 가능한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도입시킬 수 있는가?
당신이 만약 당신의 동물들에게서 어떤 특별한 결점을 발견했다면,
그 보충시키고자 하는 특징이 그 혈통 내의 단 한 마리의 새에게서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해봐야 한다.
만약 한 마리라도 그 결점을 안 갖고 있는 완벽한 새가 있다면 이계교배를 할 필요가 절대 없다.
만약 결점이 없는 완벽한 새가 한 마리도 없다면 그 때서는 당신이 원하는 그 특징이 정말로 얻을 필요가 있는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당신이 원하는 그 특징이 몇 년 후면 곧 사라질 일시적 유행의 것이냐 아니면 이상적인 모습을 위해서 진정으로 필요한 것이냐?
9단계- 출품(Campaigning)
당신이 고품질의 새라고 결정한 것을 일단 한번 키우고 나면
그 다음 차례는 (당신이 설사 잘 못 키웠다 할지라도) 당신의 새를 출품(campaigning)시키는 것이다.
나는 정말로 내가 전시할만한 가치가 있는 새를 키워냈다고 만족하기 전까지는 나의 글로스터들을 전시회에 내보내지 않았다.
초보자로서 전시회 경험이 필요하기는 했지만 그 보다도 나는 사서 기른 새나 평범한 2류의 새를 가지고
전시회에 출품시킬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못했다.
평범한 새들은 주위에 얼마든지 많이 있는데 평범한 2류의 새를 전시하는 것을 통해서는 Don Perez로서의 자부심이나
나의 글로스터에 대한 자부심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
난 대중들 앞에, 그리고 판정가들 앞에 자랑스럽게 내놓을 수 있는 그 어떤 것을 가지게 될 때까지 기다렸다.
사실 1980년 제1회 전 미국 글로스터 전문 전시회에 나는 한 팀의 새를 데려갔다.
맞다. 단독으로 딱 한 마리의 글로스터를 데려갔다. 그것은 밝은 잡색의 암컷 글로스터였다.
나와 함께 가던 이들은 전시회장으로 가는 도중 내내 비웃으면서 나를 괴롭혔다.
그들은 나에게 말하길 '애호가들 중의 거물, 우두머리'(그들은 그것을 그렇게 불렀다.)와는 대결할 기회조차 갖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소위 거물이라는 새에게서 태어나지도 않는 내 새 한 마리를 가지고 감히 그것들과 대적하려 한다는 이유에서 말이다.
음.. 난 이 말을 하고 싶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 내내 웃을 수 있었던 사람은 바로 나뿐이었다는 것을.
왜냐하면 전시회에서 내가 그 거물들 각각의 왕관을 모두 차지했기 때문이다.
나의 광고들은 잡지와 전시회 카달로그에 정기적으로 실린다.
난 각자 자신의 새를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믿는다. 전시회에서 우승한 어떠한 사람도 그들의 자산을 열심히 홍보해야 한다.
나라 안에 고품질의 새가 많을수록, 고품질의 새들과 경쟁해서 많이 이길수록 승리는 더 배가된다.
미국에서 글로스터는 최근 몇 년간 향상되었다.
10년 전에 우승했던 글로스터는 오늘날 전시회장에서 더 이상 빛을 보지 못한다.
점점 더 많은 양육자들이 고품질의 글로스터를 키우고 계승하고 있다.
새를 출품시키기 전에 전시회장을 대비해 훈련시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생기발랄한 모습과 함께 차분하고 안정적인 모습을 갖춘 새가 전시회장에서 판정가들의 주목을 받는다.
당신이 새를 기를 때 이 '성공을 위한 9단계'를 따른다면 아주 훌륭한 새를 생산하고 출품할 수 있을 것이다.
취미생활에 헌신적으로 노력을 바치는 진정한 애호가들은 그들의 새뿐만 아니라 그들의 애호 그 자체를 홍보하고 내다판다.
전시회 시즌 내내 그리고 당신의 새들 방에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한다.
출품한 전시회를 현명하게 선택하고 많은 우승컵을 따기를 기원한다.
더 자세한 내용을 위해 좋은 책 하나를 추천해도 될지 모르겠다.
이 책은 내가 성공적으로 카나리아를 키우는 데에 있어서 그리고 이 글을 쓰는 데에 있어서 주 바탕이 된 책이다.
The Secrets of the Great Animal Breeders, By David D. Kowalski.
(출처 : 네이버 지식iN 오픈백과 : 카나리아 키우기 9가지 단계 / 집필자 : brio76 (2005-04-06 15:17) )